반응형
고점과 저점이란?
고점과 저점은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.
특히 단타나 스캘핑을 하시는 분들은 기간 별로 수많은 고점, 저점을 찍고 자신만의 라인을 만들어냅니다.
고점
한 기간 내에 가격이 제일 높았던 지점입니다.
전고점
현재 고점의 바로 직전의 가장 높았던 지점입니다.
저점
한 기간 내에 가격이 제일 낮았던 지점입니다.
전저점
현재 저점의 바로 직전의 가장 낮았던 지점입니다.
추세선 긋는 법
이제 어디가 고점이고 저점인지 알았으니 추세선 긋는 건 일도 아닙니다.
아무 차트를 들고 와서 추세선(주황색 선)을 그어보았습니다.
저점은 점점 올라가고 있는 게 보이고, 고점은 올라가다가 하락했는데 다시 추세선을 뚫고 올라갔습니다.
저점의 추세선들이 상승하고 고점 역시 상승할 때 상승장
반대로 하락할 때는 하락장으로 볼 수 있습니다.
이 추세선들은 지지와 저항의 역할을 하는데 추세선 근처로 갈수록 반대 매매가 일어나는 경향을 볼 수 있습니다.
절대 100%로 지지, 저항을 일으키는 건 아니고요 하나의 참고사항일 뿐 추세선만으로 매매에서 승리할 수 없습니다.
예를 들면 저점을 연결한 추세선을 확 뚫어 매도를 했지만 다시 급하게 올라가 버리는 경우도 있습니다.
이런 경우를 휩쏘, 흔히 말해 낚시라고 불립니다.
선을 많이 그어보면서 이 선이 뚫릴 때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, 선 근처로 가면 무슨 일이 벌어지는지 직접 몸으로 익혀 감각을 늘려가는 게 좋습니다.
반응형
'주식 용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이동평균선이란? (0) | 2023.12.29 |
---|---|
지지와 저항의 뜻 (0) | 2023.12.24 |
[주식할 때 알아야 할 필수 용어] 시가, 종가, 고가, 저가의 뜻, 꼭 알아야해요! (0) | 2023.12.21 |
손절과 익절의 뜻 (1) | 2023.12.20 |
데드 캣 바운스란? - 주식 용어 (0) | 2023.12.19 |